
천하의 진미 매생이! 매생이의 유래 매생이는 갈파래목의 해조류로 깨끗한 곳에서 자라며 '매산이' 또는 '맷생이'라고도 하는데 이 말은 생 이끼라는 뜻으로 생긴 모습과 질감이 마치 이끼 같아서 붙여진 이름인 것 같다. 오래전부터 남도 지방에서 겨울철에 매생이를 즐겨 먹었다고 한다. 매생이는 우리나라 남해안과 서해안에 분포하는 해조류로서 후미지고 물이 잘 통하는 청정해역에서만 성장하며 환경에 예민하다 보니 태풍으로 바닷물이 뒤집어지거나 오폐수가 유입되면 더디게 자란다고 한다. 또한, 매생이는 아무리 끓여도 김이 잘 나지 않아 섣불리 먹었다가 입을 데여 은근히 골탕 먹이는데 안성맞춤인 음식이다. 이에 '미운 사위에 매생이국 준다'라는 속담과 '곱게 키워 시집보낸 딸자식에게 소홀한 사위에게 장모가 끓여 준다'라..

멍게 영양성분 및 효능 섭취방법 멍게의 특징 멍게의 원래 명칭은 '우렁쉥이'가 표준어였으나 경상도 사투리인 '멍게'라 는 말을 많이 사용하고 널리 불리면서 두 가지 이름 모두 표준어가 되었다고 한다. 성체 멍게는 바닥에 뿌리를 내리고 바닷물을 빨아들여 플랑크톤만 걸러 먹고 배출하며 살고, 수명은 5~6년 정도 된다. 가을부터 봄까지는 멍게의 번식기이자 산란기로 식감이 물러지고 맛도 떨어져서 제철이 아니다. 수온이 높아지는 5월에서 8월 사이 여름철이 제철로 이는 감칠맛을 내는 글리코겐 함량이 겨울에 비해 7배 정도 많아지므로 맛이 가장 좋아지기 때문이다. 해안지방에서는 식욕을 돋우는 식품으로 널리 애용되어 왔으며 지금은 양식 멍게가 많아져서 사계절 내내 먹을 수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좋아하는 해산물 ..

소라 영양성분 및 효능 섭취방법 소라의 특징 쫄깃한 소라 살을 감싸는 두껍고 딱딱한 소라 껍데기는 흔히 원뿔형의 석회질로 이루어져있는데, 껍데기의 색깔은 소라가 무엇을 먹었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수심 20m 이내 갈조류(미역 등)를 먹고 자라면 황색, 석회조류나 홍조류를 먹으면 녹갈색 껍데기를 갖게 되는 것이다. 흔히 우리가 먹을 수 있는 소라의 종류는 몇 가지가 있으며 지역별로 부르는 이름이 다르다. 그중에서도 해조류가 많은 암초 지대에 서식하는 '뿔소라'는 제주를 대표하는 해산물 중 하나이다. 제주에서 말하는 소라는 다른 지역에서 생산되는 소라와 모양이 다르게 뿔이 솟아 있어 뿔소라라고 하는데, 제주에서는 '구쟁기' 또는 '구쟁이' 라고도 부른다. 제주바다의 거센 조류에 휩쓸리는 것을 견디기 위해서 ..

감자 영양성분 및 효능 섭취방법 보관법 감자는 탄수화물뿐만 아니라 비타민, 칼륨, 단백질, 식이섬유 등 이로운 영양소를 두루 갖추고 있어 영양학적으로 거의 완전한 식품이다. 영화 의 주인공은 화성에 홀로 고립되어 생존을 위해 자신의 작은 온실에 '감자 농사'를 지어 오랜 시간 버틸 수 있었는데, 주인공이 어떻게 감자만 먹고 지낼 수 있었는지 영양학적 측면에서 살펴보도록하자. 감자의 유래 감자는 가지과에 속한 식물로, 원산지는 남미 안데스산맥 지역이다. 다른 많은 식용작물과는 달리 고지대에서 잘 자라는 특성이 있어서, 척박한 산지에서 살아가는 이들에게 주식으로 쓰였다. 16세기에 스페인 탐험가들이 유럽에 전했고, 어디서나 잘 자라는 특성이 있어서 구황작물로 재배해 왔다. 우리나라에는 18세기 초엽에 중국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