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호르몬 환경호르몬이란? 우리 몸에서 정상적으로 만들어지는 물질이 아니라, 산업 활동을 통해 생성, 분비되는 화학 물질이다. 생물체에 흡수되면 내분비계 기능을 방해하는 유해한 물질이기도 하다. 외인성 내분비 교란 화학 물질이 정확한 명칭인 환경호르몬은 신체 외의 물질이 원인으로, 호르몬, 즉 내분비가 교란되는 것을 의미한다. 1997년 5월, 일본 학자들이 NHK 방송에 출연하여 “환경중에 배출된 화학 물질이 생물체 내에 유입되어 마치 호르몬처럼 작용한다”고 하여 환경 호르몬이라는 용어가 생겨났다. 환경 호르몬은 생체 내 호르몬의 합성, 방출, 수송, 수용체와의 결합, 수용체 결합 후의 신호 전달 등 다양한 과정에 관여하여 각종 형태의 교란을 일으킴으로써 생태계 및 인간에게 영향을 주며, 다음 세대에서..

식품첨가물의 정의 식품 위생법에서 식품첨가물이란 "식품의 제조 · 가공 · 조리 또는 보존하는 과정에서 감미 · 착색 · 표백 또는 산화방지 등을 목적으로 식품에 사용되는 물질이다. 기구 · 용기 · 포장을 살귤 · 소독하는 데 사용돼 간접적으로 식품으로 옮아갈 수 있는 물질도 포함된다.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는 식품첨가물을 "통상 그 자체론 식품으로 섭취하지 않고, 영양적 가치의 유무에 관계없이 식품의 통상적인 원료로 사용되지 않는 물질"로 정의하고 있다. 또 "식품의 제조 · 가공 ·조리 ·처리 · 외포장 · 개별포장 · 운송 또는 저장 시 의도적으로 첨가해 기술적(관능적 목적 포함) 목적을 달성할 수 있거나, 그 자체 혹은 그 부산물이 그 식품의 성분이 되거나 또는 그 식품의 특성에 영향을 ..